February 2025

발표자: 고일홍서울대학교아시아연구소 일시: 2025년 1월 23일 15:00~17:0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30호 문의: 02-880-2099 2025년 1월 23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40호에서는 ‘제국과의 조우와 물질문화의 변동: 고대 북부 베트남과 한반도 비교연구’라는 주제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고일홍 HK교수의 특별 강연이 진행되었다. 우선 강연자는 비교사가 떨어져 있는 두 지역을 비교하여 그 보편성과 특수성에 주목하고, 이러한 점에서...

[연구성과-논문] 메가아시아 관점에서 다문화공간 재사유하기-김해시 외국인거리를 사례로고일홍, 인문논총 81, 2024 본 논문은 이주민들에 의한 탈영토적인 모빌리티와 다양성이 공존하는 공간을이해하는 분석적 도구로서 ‘메가아시아’와 ‘다문화공간’ 개념을 접목하여 양 개념의 이론적, 경험적 확장을 탐색했다. 지역별 영역주의의 함정을 극복하고 탈식민적 맥락에서 네트워크와 관계를 통해 아시아를 확장적으로 이해하려는 개념인 메가아시아는 거시적...

[연구성과-단행본 챕터] 고대 동북아시아 네트워크와 창원 다호리 유적 고일홍, 창원 다호리 유적 재조명 III - 다호리유적과 진·변한의 세계, 2024 필자의 경우, 다호리유적에 주목한 이유는 그곳이 가지고 있는 '국제성' 때문이다. 즉,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자신들이 더 넓은 세상과 연결되어 있음을 가장 먼저 인식한 이들이 다호리와 사천 늑도의 집단들이었을...

[연구성과-발표] 해방 이후 북한 고고학의 전개 - 보편성과 특수성 고일홍, 국민국가 건설과 고고학 - 제54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국제학술회의, 2024 초기 북한 고고학에 대한 선행 연구의 성과는 매우 풍부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북한 고고학에 대한 정보를 새롭게 확보하거나 초기 북한 고고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기보다는, 기왕에 연구된...

[연구성과-발표] 사람·사물·생각의 이동과 수공업 생산의 공존-사천 늑도 유적 고일홍, 고대 국제 무역항 사천 늑도 유적 국제학술대회, 2024 활발한 상공업의 공간이었던 늑도는 기원후 1세기 어느 시점에 쇠락의 길에 접어들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존재하나, 발표자는 쇠락의 원인 또한 ‘글로벌 가치사슬’ 개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성과-발표] 청동기시대 춘천분지 마을의 역사와 화재 -춘천 중도 유적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일홍, 중도 유적 속의 청동기~철기시대 춘천분지의 물질문화, 2024년 본 연구에서는 중도 유적의 청동기시대 화재 주거지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마을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화재 주거지’의 바닥면 유물 출토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우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