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자: 우텐옹사팃(실빠꼰대학교 고고학부) 일시: 2024년 10월 14일 16:00~18:00 장소: 아시아연구소 304호 문의: 02-880-2099 024년 10월 14일(월), 아시아연구소 304호에서는 태국 실빠꼰대학교 고고학부의 우텐 옹사팃 선생님을 모시고 ‘수완나품의 초기 해양 교역 루트-비문과 고고학적 증거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의 큰 주제는 비문, 고고학적 증거를 중심으로 수완나품 지역을 포함한 고대 동남아시아의 교역...

일시 : 2024년 9월 27일(금) 13:00~18:00 장소 : 아시아연구소 240호 행사후기 2024년 9월 27일(금), 아시아연구소 240호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여러 연구자를 모시고, <환동해교류의 거점–단고반도의 고대를 보는 새로운 시선->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가 진행되었다. 김종일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님의 개회사로 시작된 학술대회는 고대 단고 반도에 대한 다양한 발표를 통해 단고 반도를 다양한 시선으로...

발표자: 김미숙전북대고고문화인류학과 일시: 2024년 7월 2일 16:00~18:00 장소: 아시아연구소 304호 문의: 02-880-2099 2024년 7월 2일(화), 아시아연구소 304호에서는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의 김미숙 선생님을 모시고 <일본 근대기 아이누의 변화와 현재>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의 큰 주제는 근대기 아이누의 변화와 현재의 모습을 구시로 아칸 아이누 고탄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었다. 강연자는 우선 아이누의 역사와...

지난 2024년 3월 4-8일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에서 개최되었던 “Nordic Baltic Korean Studies Days 2024”에서 <아시아의 문명교류 프로그램> 소속 연구진은 일주일 동안 오후 실습 과정(training session)을 운영하며 아시아 교류사의 관점에서 신라사를 바라보는 관점을 공유하고, ‘신라 유물 전시 기획 실습’을 통해 ‘아시아사로서의 신라사’를 드러내는 방법에 대해 유럽의...

발표자: 후지타 켄지(藤田憲司) (前 오사카매장문화재센터)   일시: 2024년 4월 8일 16:00~18:00 장소: 아시아연구소 304호 문의: 02-880-2099 2024년 4월 8일(월), 아시아연구소 304호에서는 전 오사카매장문화재센터의 후지타 켄지 선생님을 모시고 <일본 고대 산잉(山陰) 정치체와 한반도의 교류>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우선, 강연자는 산잉 지역 야요이 시대의 독특한 무덤 양식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면서, 이러한 양식의 분포가...

<한국의 고대 고분과 유라시아 네트워크 시리즈 ‘북토크’ 제 3회 -<동서교섭 네트워크의 고고학> 발표1: 김종일(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발표2: 김민주(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지선(서울대학교 박물관) 일시: 2024년 2월 27일 (화) 16:00-17:30 장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30호 문의: 02-880-2099 Review 지난 2월 27일 (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의 문명 교류 프로그램’에서 실시하는 ‘한국 고대 고분과 유라시아 네트워크’ 시리즈의 제3회 북토크가...

[워크숍] 메가아시아 융복합 연구 워크숍 발표 1 : 고대 동아시아의 경계들 상상하기와 반 셴델(Van Schendel)의 조미아(Zomia) 개념(고일홍,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발표 2: 겹쳐진 경계: 동아시아 고대 제국의 변경과 그 주변(김병준, 서울대 역사학부 교수) 사회 : 구기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토론 : 이상국,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일시: 2023년 12월 27일...

<아시아의 문명교류 프로그램>은 2023년 9월부터 한국연구재단의 <NRF 인터내셔널 모빌리티> 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연구진은 “한국학, 새 길을 트다 – 21세기 한국 고대사·고고학과 고대 아시아(New Road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 Korean Ancient History and Archaeology in the 21st century and Asia)”라는 아젠다를...

[연구성과-논문] 무덤 연구의 다각화를 위한 노력: 네트워크 시각화와 ‘배치’ 개념의 적용 고일홍, 한국사학보 120, 2023년 고고학에서 무덤 연구는 무덤의 형식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은 ‘자료의 정리’는 분석에 앞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는 하지만,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고고학 자료의 정리 방법인 ‘유사성이나...

[연구성과-논문] 선사·고대 환동해 교류망에서 울릉도의 역할 재고 고일홍, 한국사학보 89, 2022년 이사부 정벌 전후의 우산국 토착 사회에 대한 지금까지의 추론은 문헌 자료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이루어져 왔다. 이중 고고학 자료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은 청동기시대 부터 울릉도에 주민이 정주했으며, 이 집단이 훗날 ‘우산국’으로 불리게 될 정치체로 성장했다는 시각으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