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집담회 1회, 인류세: 생명과 사회의 미래


1회 집담회, 인류세: 생명과 사회의 미래

미래지구 프로그램은 지난 5월 30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의 이광석 교수님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최무영 교수님을 모시고, 인류세를 생명과 사회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습니다.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김 준 교수님께서는 사회를 봐주셨습니다.

사회를 봐주신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김 준 교수님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의 김 준 교수님은 아시아연구소 미래지구 프로젝트의 디렉트를 담당하고 계십니다. 이 집담회를 열게 된 배경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지식-행동 역량을 키우려고 하는 미래지구를 소개하셨습니다. 그 틀 안에서 자연과학자와 사회과학 및 인문학자들이 함께 토론할 수 있는 장을 여셨습니다. 1회 집담회 주제는 바로 인류세 논의입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의 이광석 교수님

우선 이광석 교수님은 인류세의 논의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지구를 시스템적으로 바라보는 인류세 논의가 놓칠 수 있는 부분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짚어주셨습니다. 특히 인류세 논의에서 가려질 수 있는 자본주의 역시 인류세 논의에 결합되어야 함을 지적하셨습니다.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최무영 교수님

한편, 최무영 교수님은 물리학에서 논의되는 복잡계 관점이 인류세 시대의 상황과 문제들을 다루기에 적절함을 소개해주셨습니다. 복잡계 관점에서 물리적 현상, 생명 현상, 사회적 현상들이 설명될 수 있고, 각각은 스스로 짜여지는 특성인 자기조직화를 가지고 있음을 말해주셨습니다. 특히 에너지와 정보의 교류 때문에 생명 현상, 더 나아가 사회적 현상이 유지될 수 있음을 강조하셨습니다. 더불어 복잡계 현상의 대표적인 예들과, 자연과학에서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지 등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두 분의 발표를 기반으로, ‘자본주의에서의 취약계층이 환경문제에서의 피해자이기만 하지 않고 가해자일 수도 있지 않은가’, ‘인류세의 시작을 언제부터라고 할 수 있는가’, ‘기술과 과학 그리고 각 학문을 분리해서만 다루는 현상이 인류세의 문제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등의 폭 넓고 깊은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